윤부원 거제시의회 의원, “거제시 지원부서 신설 시급하다”

▲윤부원 거제시의회 의원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가한 가운데 “해양플랜트를 제2의 조선산업으로 키운다”고 밝혔다.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보고에 따르면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지난해 257억달러에서 오는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3배 이상 늘리고, 엔지니어링‧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도 지난해 40%인 수준을 오는 2020년까지 60%로 높이기로 했다.

해양플랜트 산업의 육성방안으로 주요 추진대책은 국산기자재의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엔지니어링 확보, 프로젝트 개발에서 엔지니어링‧건조에 이르는 종합역량 확보, 해양플랜트 산업의 클러스터 기반 조성 등을 내세웠다.

정부가 이러한 발표를 한 배경은 해양플랜트 시장규모가 2010년 1400억달러에서 2015년 2300억달러, 2020년 3200억달러, 2030년 500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BIG 3사의 해양플랜트 수주액은 257억달러로 선박의 수주실적 249억 달러를 능가했다. 정부 발표에서 엔지니어링‧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이 지난해 40%라고 밝히고 있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기자재 국산화율은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9일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부산에서 가진 것을 보듯, 부산은 정부의 해양플랜트 산업 육성 전략을 이미 간파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부산광역시는 부산 강서구 33㎢(1100만평)에 들어서는 국제산업물류도시를 비롯해 강서구 인근을 합쳐 전체면적 51.9㎢(1570만평)을 ‘부산연구개발특구’로 지정받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부산시는 연구개발특구를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의 중심축으로 삼아 한국기계연구원 분원, 해양플랜트연구원, 부산과학기술원 등을 집적시킨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이와 더불어 국내 조선 기자재 산업의 60%가 집중돼 있는 이점을 내세워 녹산국가공단, 신호지방산업단지 등을 ‘해양중심 클러스터’로 특화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지난달 하동 갈사만 조선산업단지 안에 661,000㎡(20만평)를 분양 받기로 한 대우조선해양은 분양대금의 10%인 110억원을 계약금으로 지불했다는 언론보도가 이어졌다. 대우조선해양이 분양받기로 한 20만평 분양대금이 1100억원이다. 1평에 550,000원 꼴이다.

공장을 지을 수 있도록 부지 조성을 끝낸 1평의 땅값이 55만원이면 연초 오비산업단지가 1평에 110만원에 분양된 것으로 치면 절반 가격에 불과하다. 또 거제시가 추진하고 있는 하청덕곡 198만㎡ 차세대산업단지 조성원가는 1평당 122만원으로 밝히고 있다. 조성원가가 122만원이면 분양가는 이보다 훨씬 높을 것이다.

하동 갈사만의 낮은 분양가는 차치하더라도 대우조선해양이 하동에 진출하고자 하는 이유는 앞으로 해양플랜트 수주 물량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장 부지를 미리 확보하자는 차원일 것이다. 삼성중공업 또한 해양플랜트 수주물량이 늘어날 경우 현재의 야드가 협소할 경우 공장 부지 확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선박을 건조하는 야드는 회전율이 높은 반면 플랜트는 생산 회전율이 선박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똑같은 규모의 해양플랜트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더 넓은 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거제는 세계 1위 조선산업도시다. 거제 경제의 80% 이상을 조선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조선해양산업이 조선산업에서 해양플랜트 산업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지난달 정부의 발표에서 산업생태계 인프라 조성 전략에 거제를 포함한 경남은 해양플랜트 건조지역으로 분류했다.

거제시 이름이 나타나는 곳은 올해 3월에 연초면 오비산업단지에 개원한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인증 센터’가 전부다. 시험인증 센터는 기자재 성능 및 시험평가 수행하는 곳으로 부가가치 창출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거제시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해양플랜트 중심으로 생산구조가 재편되더라도, 결국 거제에서 모든 생산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은 갖고 있지 않은 지 반성해야 한다.

부산은 해양플랜트 산업 연구 개발, 인재 육성, 해양플랜트 주요 기자재 생산 등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하동은 해양플랜트 주요 제품 생산 조립하는 ‘하동갈사만 산업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거제 회사 규모는 줄어들 것이다. 회사 규모가 즐어들면 근로자가 줄어든다. 근로자가 거제를 떠나면 인구가 줄어든다. 인구가 줄어들면 아파트 가격 등 지역 경제가 큰 타격을 받는다. 위기의 ‘도미노 현상’이 우려된다.

거제시는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육성한다는 차원에서 시 조직 내에 전략사업담당관실을 두고 있다. 또 지역 내 조선산업을 행정 지원한다는 차원에서 다른 지자체에는 없는 조선&경제과를 두고 있다. 해양플랜트 산업은 거제의 명운이 달린 ‘미래 성장 동력’이다. 하지만 그 동안의 의정활동에서 거제시는 ‘해양플랜트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

거제시는 차세대산업단지를 조성해 미래 성장 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면 이 또한 차일피일 시간을 끌 문제가 아니다. 거제시는 하루빨리 해양플랜트 산업 관련 지원 부서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 지역 내 조선 관련 업체들의 해양플랜트 산업 진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바다(조선)가 잔잔하다고 해서 대비책을 세우지 않으면, 큰 태풍(해양플랜트)이 닥쳤을 경우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다.

지역의 조선업체들은 거제가 지정학적으로 조선산업에 가장 경쟁력을 가진 도시임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해양플랜트 산업도 틀림없이 거제가 가장 경쟁력을 가진 도시가 될 것이다. 거기에 거제는 어느 지역보다 근면 성실한 거제시민이 있다. 기업‧시민‧거제시가 머리를 맞대 거제 안에서 생존전략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거제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