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무원 "부산 강서구 특구중심지로 한 것은 거제시 고려해서"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을 특화산업으로 하는 ‘부산연구개발특구’가 26일 지정돼 향후 거제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경남도는 부산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된 후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경남도도 10월 16일 특구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는데, 부산만 일방적으로 단독 지정한 것은 정부 정책의 공개성과 공정성, 신뢰성을 상실한 처사다”고 했다.

지역의 일부 언론에서는 ‘거제시도 연구개발특구를 신청했는데 부산쪽으로 지정이 됐다’며 마치 거제시가 ‘물먹은’ 것처럼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대로이면 경상남도가 지식경제부에 신청한 경남연구개발특구에 거제시가 포함돼 있어야 한다.

경남도가 지난 10월 16일 지식경제부에 제출한 ‘경남연구개발특구’에는 거제시는 포함되지 않았다. 경남도 전략산업과 담당공무원은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특구 지정을 위한 자격 요건을 갖춘 도시는 창원시 밖에 없다”며 “거제시는 요건이 안돼 경남연구개발특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했다.

연구개발특구의 지정요건에 국립연구기관 또는 정부출연기관 3개 이상을 포함한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40개 이상, 대학 3개 이상 등의 조건을 갖춰야 특구를 신청할 수 있다.

▲ 연구개발특구 지정 요건
경상남도는 29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남핵심 전략 산업 선정 보고회’를 가지고 5대 핵심산업 중에 조선해양플랜트를 첫 번째 주력산업으로 선정했다. 경남도는 또 10월 12일 조선산업에서 해양플랜트산업 전환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업 불황타계를 위한 중장기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부산시의 연구개발특구 지정, 경남도의 조선해양플랜트 주력산업 선정을 통해 조선과 해양플랜트 세계적 ‘건조 집적지’인 거제시는 어디에다 초점을 맞춰야 할까.

거제시는 앞으로 행정구역으로 경상남도이지만 지역 경제 산업연관성으로는 부산광역시와 더욱 가까워지게 됐다. 부산광역시가 연구개발특구 중심지를 부산과학산업단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인 미음지구, 녹산국가산업단지, 국제산업물류도시 등이 입지했거나 앞으로 조성될 부산 강서구에 둔 것은 거제시를 염두해둔 측면이 강하다.

▲ 부산연구개발특구가 부산 강서구에 집중돼 있다.
부산광역시 과학산업과 담당공무원은 “부산 강서구를 특구 중심지로 신청한 것은 해양플랜트 건조 중심지인 거제시를 고려한 것이다”고 했다. 이 공무원은 “해양플랜트 산업은 설계, 기자재, 모듈, 건조 순으로 이뤄지는데 연구, 기자재 생산, 건조 등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하며, 부산연구개발특구가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고 했다.
경상남도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을 위한 행정 대처 능력은 부산시 보다 한발 늦은 느낌이다. 지난 10월 12일 발표한 ‘해양‧조선 산업 중장기 육성계획’ 또한 4대 전략과 26개 중점 추진과제를 선정했지만, 확인 결과 26개 중점 추진 과제별 구체적 로드맵을 아직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서도 10월 16일에야 모든 법적 절차를 거쳐 지식경제부에 신청했다. 이에 반해 부산시는 2년 전인 2010년에 ‘부산연구개발특구’를 지식경제부에 신청했으며, 올해 8월 미비 사항을 보완해 최종적으로 제출했다.

부산시 과학산업과 담당공무원은 “부산이 2년 전에 연구개발특구를 신청한 것은 경상남도도 이미 알고 있었다”며 “이제 와서 문제를 삼고 있다”고 했다. 이 공무원은 “이제 행정구역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각 지자체 간 광역권으로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 부산연구개발특구 중심지인 부산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

 

저작권자 © 거제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