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망갈리아중공업 손실 주범…채권단, 계열사 매각 등 구조조정 착수

▲ 대우조선해양 야드 전경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이 해상(海上) 플랜트 분야 등에서 2조원대의 누적 손실이 발생했지만,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고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거제 지역에 메가톤급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11년 1척당 6000억원에 수주한 4척의 극지(極地) 리그(반잠수식 시추선) 건조 과정에서만 1조원 정도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 플랜트는 고정식이나 이동식 원유 시추·생산 시설 등이다.

정부 관계자는 “14일 ‘대우조선해양이 자체적으로 조사를 하고 있는데 2조원 정도의 손실이 그동안 실적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면서 "최종적인 손실 규모는 다음 달 초에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앙언론 보도가 이어졌다.

또 대주주인 산업은행 관계자는 “해상 플랜트 사업 분야 외에 루마니아의 대우망갈리아중공업 등 자회사 부실도 예상보다 크다"면서 "손실이 3조원에 육박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대우조선해양과 함께 조선업계 '빅3'로 불리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그동안 쌓였던 부실을 실적에 반영했다. 현대중공업은 3조2495억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영업 손실을 기록했고, 삼성중공업도 해상 플랜트 사업에서 발생한 7500억원의 손실을 반영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80% 줄어든 1830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4508억원의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지난달 취임 직후 정성립 사장은 "조선 '빅3'의 해양 플랜트 비중이 비슷한데 과연 작년에 우리만 잘했을까 의문이 들었다. 실상을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규모가 공개되면 성동조선 등 중형 조선소의 경영난이 악화된 상태에서 조선업종의 회사채 만기 연장 등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구조조정 지원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 연말까지 5000억원 정도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자회사 가운데 실적이 악화된 대우망갈리아중공업 등 5~6곳을 청산, 매각 등의 방법으로 정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에 대해 계열사 등 자산 매각 방식의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산은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반영하지 않았던 부실을 한꺼번에 반영할 경우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구조조정이 거론되는 것은 그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아직은 워크아웃, 자율협약은 다소 앞서나간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산은과 대우조선은 올해 3월 고재호 전 대우조선 사장의 연임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대우조선 내부에서는 "경영을 잘 해왔는데 교체하면 안된다"는 여론이 높았으나, 산은은 부실을 반영하지 않아 실적이 좋게 포장된 사례라고 판단해왔다.

한편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지분 31.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대우조선은 대우그룹 해체 여파로 지난 2000년 한차례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1년만에 졸업해 워크아웃 모범 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2015. 7. 15. 조선일보 등 참조>
 

저작권자 © 거제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