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균형발전 차원 속도 내는 방안 검토 중”
경남을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서부경남KTX의 예비 타당성 면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속도’까지 언급해 조기 착공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 총리는 지난 12일 경남 통영시 도남동 ‘통영 폐조선소 재생사업’ 현장을 방문해 조선 업계·지역 경제인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총리는 “김경수 지사와 최근 만나 남부내륙철도 즉, 김천에서 통영까지 오는 KTX(서부경남KTX) 사업에 관해 얘기했다. 국가균형발전이나 낙후지역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업”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다만, 한 가지만 하기보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몇 개 사업을 함께 해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속도를 내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하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여러분에게 좋은 소식이 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총리의 발언은 서부경남KTX를 정부의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은 물론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김 지사가 내세운 예타 면제 명분이 국가균형발전이었다. 김 지사는 서부경남KTX 단독으로 예타 면제가 어려워 다른 지역의 비슷한 내용의 사업들과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줄곧 주장했다. 이런 김 지사의 논리를 이 총리가 이날 똑같이 되풀이한 것이다. 여기에 이 총리는 ‘속도’까지 구체적으로 거론해 조기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 총리는 “조선산업이 어려워도 우리의 국제적 우위를 유지하려면 아주 고통스러운 노력을 감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노동집약형 방식은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며 “조선산업을 포함해 산업구조 고도화 작업을 산업부를 중심으로 하고 있고, 연내에 발표할 것이다. 조선업에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김 지사의 제조업 혁신 방안 중 하나인 스마트 공장 확대에도 힘을 실었다. 그는 “어느 지역이나 하나의 산업에 많이 편중되다 보면 리스크가 늘기 마련이다. 김 지사가 구상하는 대로 산업의 다변화를 추구할 때가 됐다”며 “스마트 공장 확대, 스마트 산단 조성을 제1의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고 정부 또한 그 길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광을 또 하나의 대안산업으로 꼽으며 “중장기적으로 도지사 등이 긴 호흡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14일 논평을 내고 “이 총리의 발언은 경남 현안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청신호다. 서부경남 KTX 사업은 연내에 국가재정사업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밝혔다.<국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