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4일 거제시에 통보, "이건 또는 철거계획 수립해 통보해라"
7명 거제시의원 4일부터 '동상 철거' 가두서명 나서

5월 27일 포로수용소유적공원 안에 세워진 김백일 동상이 곧 철거될 것으로 보인다.

경상남도는 4일 김백일 동상은 문화재보호법 13조와 경상남도 문화재 관리조례 제44조 1항에 따라 동상건립 과정에 ‘문화재영향검토’를 이행치 않아 무단설치된 시설물이기 때문에 ‘원상복구해라’고 거제시에 통보했다.

경남도는 또 같은 공문에 ‘김백일 동상 이건(移建) 또는 철거계획을 수립해 도에 통보하라’고 했다.

▲ 4일 오후 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열린 동상철거 가두서명에 동참하는 시민들
포로수용소유적공원은 1983년 12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포로수용소유적공원 안 대표적 문화재 자료는 공원 끝지점에 있는 PX 잔존건물이다.

경남도 조례에는 “도시 지역 중 녹지지역은 문화재 자료 외곽경계로부터 300m 이내 지역에 시설물을 건축하는 경우 시설물이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김백일 동상은 PX잔존건물로부터 직선거리로 250여m 떨어져 있어 문화재영향검토를 받아야하지만 관련 절차를 누락시켰다.

거제시 문화공보과는 흥남철수기념사업회와 거제시 관광과에 동상을 자진 철거 통보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한 두 차례 통보한 후 동상을 자진철거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통해 동상을 철거하게 된다.

거제시 문화공보과 담당공무원은 “도에서 철거명령이 내려졌기 때문에 동상을 세운 건립 주체가 자진 철거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거제시의회 7명의 의원들은 4일부터 ‘동상 철거’ 가두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시의원들을 동상 철거 서명 운동에 앞서 4일 오후 고현 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 김백일 동상철거운동에 동참한 7명 시의원(왼쪽부터 유영수, 김은동, 박장섭, 이행규, 한기수, 옥영문 시의원)이 가두서명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전기풍 시의원은 개인사정으로 불참)
시의원들은 철거 기자회견문에서 “시민들을 찾아다니며 ‘친일파 김백일 동상 철거’의 당위성과 김백일을 비롯해 친일파의 반민족행위를 홍보하며 김백동 철거 서명운동을 벌일 것이다”고 했다.

▲ 5월 27일 세워진 김백일 장군 동상이 경남도의 철거명령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가두 서명운동에 나선 시의원들은 3개조로 나눠 거제 각 지역을 돌며 김백일 동상 철거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시의원으로써 거리에 나선 이유를 묻자 “의회내에서 활동을 통해서 문제점을 지적할 수도 있지만, 친일행위가 잘못됐다는 것을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서명에 나섰다”고 했다.

시의원들의 가두서명 시작시점에 때맞춰 ‘김백일 동상 철거해라’는 경남도 공문이 거제시에 접수됐기 때문에 앞으로 행동 방향을 어떻게 잡을 지에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두서명 기자회견문에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김백일은 일제강점기 때 만주 봉천군관학교를 나와 1940년 만주국 장교로 복무했고, 이어 항일무장독립군을 토벌하는 간도특설대 창설 장교로 나서 독립투사를 일제의 재물로 바친 민족반역자이다”고 했다.

“거제는 옥포승첩의 고장이고, 아주장터 5․2 만세운동을 벌인 역사가 살아숨쉬는 곳이다”며 “친일파 동상을 세워 후손들에게 기리게 한다면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누가 조국을 위해 나서겠느냐”고 했다.

동상 철거에 서명한 시민 정 모(42)씨는 "친일파 동상이 거제에 세워졌다는 사실에 놀랐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시민 의식이 깨어나는 좋은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 가두서명 현장에는 일제시대 때 독립군이나 양민을 학살하는 자료사진을 함께 전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거제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